반응형

주식 공부에 앞서 용어부터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선물과 옵션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파생상품이란?

 

이 용어를 알기 위해서는 파생상품에 대해서 먼저 접근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파생상품 안에 선물과 옵션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파생 상품은 무엇일까요?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기초 상품에서 파생되어서 나온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기초 자산은 주식 채권은 물론이고 원유나 달러화, 곡물과 같은 것들도 들어갑니다.

 

이때 파생상품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달라짐에 따라 가격이 같이 변화하는데, 그 위험을 피하는 수단으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선물과 옵션입니다.

 

 

 

 

 

선물이란?

 

선물은 미래 일정 시이게 현재의 상품을 매매하는 조건이 달려있는 계약을 의미합니다. 이때 현재 시세로 가격을 매기고 매매가 실제로 이루어 지는 조건을 가집니다. 

 

이해가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 예로들어 알려드리겠습니다.

 

농사를 짓는 분들은 한해 농산물의 가격이 어떻게 측정될지 몰라 걱정스럽습니다.

쌀농사를 짓는데 작년에는 한 가마니에 10만 원이었지만 올해는 그렇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누군가 올해 농사가 끝나면 한 가마니에 10만원에 사기로 미리 계약을 걸어오는 것입니다.

 

미래에 판매할 것을 현재 10만원에 거래되고 있으니 그 가격으로 사기로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바로 선물이라고 합니다.

 

 

 

 

 

옵션이란?

 

옵션은 선물 거래의 위험성을 헷지하기 위해서 나온 것입니다. 여기서는 현물이나 선물이 아니라 권리 자체를 거래합니다. 한마디로 '그 가격에 살 수도 있는 권리'를 사고 파는 것입니다. 

 

이때 산 사람은 나중에 살지 말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즉, 이 거래는 반드시 이뤄 나는 것은 아닌 것입니다.

 

옵션의 종류

 

옵션에는 콜옵션과 풋옵션이 있습니다. 콜 옵션은 살수있는 권리이고 풋 옵션은 팔 수 있는 권리입니다. 예를 들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콜 옵션의 예

 

올해 쌀값이 폭등할 것 같은 예상이 듭니다. 따라서 살을 살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게 됩니다.

 

농사꾼에게 쌀 한가마니를 10만 원에 10 가마니 사고 싶다.

하지만 나중에 살수도 있고 안 살 수도 있는 조건을 넣고 싶다.

대신 계약금으로 5천원을 걸고, 거래가 일어나지 않으면 계약금을 포기하기로 한다.

 

바로 이것이 콜 옵션인 것입니다.

 

풋 옵션의 예

 

바로 위의 예에서 농사꾼의 입장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올해 농사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 위험 속에 있어서 쌀을 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고 싶은 것입니다.

 

이번 가을인 3개월 뒤에 쌀을 한 가마니에 10만 원씩 10 가마니 팔고 싶다.

하지만 그때 가격이 더 오르면 안 팔고 싶으니 팔수도 있고 안 팔 수도 있는 조건을 걸고 싶다.

대신 계약금으로 5천 원을 걸 테니까, 그때 안 팔면 그 돈을 포기하겠다.

 

이와 같은 경우가 바로 선물과 옵션입니다. 어려운 용어처럼 느껴지지만 생각보다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예이기 때문에 알아두시면 경제를 살피는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주식 선물 옵션은 무엇일까? +오징어게임 상우의 사정을 알아보자

 

옵션거래란 무엇이고 어떻게 왜 하는지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