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

 

여러분들은 이런 소리를 들어 보셨나요?

 

바로 무상증자의 경우입니다.

 


우선 증자라는 말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증자란 '자본금을 늘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증자의 방법에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있습니다. 


유상증자란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서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고, 이를 투자자들에게 판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상증자와 권리락에 대하서 알아봅시다

 

 

 


그럼 무상증자란 무엇일까요?



무상증자도 자본금을 늘리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신주를 발행합니다. 하지만 이를 판매한 금액이 회사에 들어오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무상으로 증자'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신주를 발행해서 주주들에게 무상으로 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왜 무상증자를 하는 것일까요?

 

 

 


기업이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



여기에 대해서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우선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서 입니다. 

이에 따라 회사의 대출 한도가 증가되어 다른 방식으로 자본을 조달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주주들에게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회사의 주인은 CEO가 아니라 주주입니다. 주주들에게 공짜 주식을 나눠줌으로 이미지 관리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되십니다.

 

세 번째로는 증명입니다. 바로 무상증자를 할 수 있을 만큼 우리 기업은 잉여자금이 충분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이는 재무 구조의 안정성을 보여주기도 하고, 이를 기반으로 또 다른 투자자들을 모을 수도 있는 것이죠.


 

 

 


무상증자가 가져오는 것들



하지만 결과적으로 늘어난 주식 수 만큼 주가는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직관적으로 계산해보면 주식 수가 2배로 늘었을 때 시가총액은 변하지 않음으로 주가는 절반이 되는 것입니다.

 


이때 권리락이 발생합니다.



한 기업에서 무상증자를 하기로 가정해 봅시다. 

이때 내가 신주를 배정받고 싶다면 신주배정일 최소 2일 전에는 해당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신주 배정일 하루 전날 해당 주식을 샀다면 어떻게 될까요? 

받지 못합니다. 이런 상황을 우리는 권리락이라고 합니다.



즉, 권리락이란 무상 증자를 받을수있는 기준일 이후로 주식을 구매한 사람들이 신주인수권을 배당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권리가 없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무상증자가 발표되면 주식을 많이들 사기 때문에 주가가 오르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계속해서 상승세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무상증자가 주가에 긍정적인 반응이 있다는 것을 알고 악용하는 곳들도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기업을 공부하고, 투자해도 괜찮은지 알아본 뒤에 들어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